리터럴(literal)

2022. 6. 30. 23:19Java

리터럴이란?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int a = 3; 
char b = 'A'; 
string abc = "ABC";

 

위의 코드에서 3,  'A',  "ABC"는 리터럴이다 .

 

리터럴의 접두사와 접미사

종류 리터럴 접미사
논리형 false, true X
정수형 123, 0b0101, 077, 0xFF, 100L L
실수형 3.14 3.0e8, 1.4f, 0x1.0p-1 f,d
문자형 'A', '1', '\n' X
문자열 "ABC", "123", "A", "true" X

> 정수형에서  long type의 경우 리터럴 뒤에 L을 붙인다.

> 실수형에서 타입이 float일때는 f, double일때는 d를 붙인다. 보통 d는 생략이 가능하다. 

> 접미사는 대소문자의 구별이 없다!

 

long I = 10_000_000_000L; // L이 없다면 에러 발생
// _는 큰 숫자를 표현할때 넣음. 
// 보통 세자리마다 넣지만 원하는 대로 넣어도 됨
long I = 100; ///OK

 

리터럴의 진수 표현

int i = 3; 	//10진수
int oct = 04 	// 앞에 0이 붙는다면 8진수
int hex = 0x100;	// 리터럴 앞에 0x가 붙는다면 16진수
int bin = 0b0101; 	// 리터럴 앞에 0b가 붙는다면 2진수

> 접두사 또한 대소문자 구분이 없다!

 

e의 정체

종종 자바를 보면 1e3과 같은 숫자가 보인다. 

e3는 10의 3제곱을 의미한다. 

e가 포함된 숫자의 자료형은 double이다. 

e표현 실제값 e표현 실제값 e표현 실제값
0e3 0.0 3e0 3.0 3e-1 0.3
1e3 1000.0 3e1 30.0 3e-2 0.03
2e3 2000.0 3e2 300.0 3e-3 0.003
3e3 3000.0 3e3 3000.0 3e-4 0.0003
4e3 4000.0 3e4 30000.0 3e-5 0.00003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VM  (0) 2022.07.18
변수  (0) 2022.06.30
상수(final)  (0) 2022.06.30
자주 발생하는 에러와 해결 방법  (0) 2022.06.30
자바란?  (0) 2022.06.30